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윌리엄 바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 윌리엄 브래드포드찰스 리레비 링컨 시니어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존 브레킨리지시저 어거스트 로드니윌리엄 핑크니리처드 러쉬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윌리엄 워트존 M. 베리엔로저 토니벤자민 프랭클린 버틀러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펠릭스 그런디헨리 D. 길핀존 J. 크리텐던휴 S. 레가르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존 넬슨존 A. 메이슨네이던 클리포드아이작 투시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리버디 존슨존 J. 크리텐던 케일럽 쿠싱제레미아 S. 블랙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에드윈 스탠튼에드워드 베이츠제임스 스피드헨리 스텐베리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윌리엄 M. 에버츠 에버니저 R. 호어 아모스 T. 아커만조지 헨리 윌리엄스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에드워즈 피에르폰트알폰소 태프트찰스 데번스웨인 맥베이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벤자민 H. 브레스터어거스트 갈랜드윌리엄 H. H. 밀러리처드 올니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저드슨 허몬조셉 맥케나존 W. 그릭스필랜더 C. 녹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윌리엄 헨리 무디찰스 보나파르트조지 W. 위커샴제임스 C. 맥레이놀즈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토마스 와트 그레고리A. 미첼 팔머해리 M. 도허티할런 F. 스톤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존 G. 서전트윌리엄 D. 미첼호머 스틸 커밍스프랭크 머피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로버트 H. 잭슨프랜시스 비들톰 C. 클라크J. 하워드 맥그래스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제임스 P. 맥그래너리허버트 브로넬 주니어윌리엄 P. 로저스로버트 F. 케네디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니콜라스 카젠바흐램지 클라크존 N. 미첼리처드 클라인딘스트
제69대제70대제71대제72대
엘리엇 리처드슨윌리엄 B. 색스비에드워드 H. 레비그리핀 벨
제73대제74대제75대제76대
벤자민 시빌레티윌리엄 프렌치 스미스에드윈 미스딕 손버그
제77대제78대제79대제80대
윌리엄 바자넷 레노존 애쉬크로프트알베르토 곤잘레스
제81대제82대제83대제84대
미셸 무케이지에릭 홀더로레타 린치제프 세션스
85대(직무대행)제86대제87대
매튜 휘태커윌리엄 바메릭 갈랜드




미합중국 제77·85대 법무장관
윌리엄 펠햄 바
William Pelham Barr
파일:800px-William_Barr (1).jpg
출생1950년 5월 23일 (74세)
뉴욕 주 뉴욕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임기제77대 법무장관
1991년 11월 26일 - 1993년 1월 20일
제85대 법무장관
2019년 2월 14일 - 2020년 12월 23일
가족아버지 도널드 바
어머니 마리 마거릿 아헨
4남 중 장남
동생 스티븐 바
배우자크리스틴 모이니한
학력컬럼비아 대학교 (행정학 / B.A)
컬럼비아 대학교 (행정학 / M.A)
조지 워싱턴 대학교 (법학 / J.D)
소속 정당

약력커클랜드 & 엘리스 변호사
제25대 법무차관
제77, 85대 법무장관

1. 개요
2. 생애
2.1. 제85대 법무장관 시절 (2019~2020)



1. 개요[편집]


미합중국법조인이자 제77대 및 제85대 법무장관이다. 1853년 최종 사임한 존 J. 크리텐든 장관 이래로 무려 166년만에 법무장관을 두 번이나 역임한 인물이다.


2. 생애[편집]



2.1. 제85대 법무장관 시절 (2019~2020)[편집]


2018년 12월 7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게이트 수사 문제로 해임한 제프 세션스의 후임으로 바 전 법무장관을 지명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트럼프 충성파라는 점인데 가장 대표적으로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의 해임을 지지하기도 했고, 로버트 뮬러 특검 임명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었기 때문이다.

뮬러 특검의 수사를 훼방놓을까 우려한 민주당의 강력한 반대가 있었지만 연방 상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공화당 내에서 반대표가 1표[1]밖에 나오지 않았고, 오히려 민주당에서 찬성표가 3표[2]나 나오면서 찬성 54표, 반대 45표로 의회의 인준을 받아 임명될 수 있었다.

취임 후에는 끝내 의회에서 폐지에 실패한 오바마케어를 위헌으로 만들기 위해 연방 항소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연방법 위반에 대한 사형제를 부활시키고, 뮬러 특검의 러시아게이트에 대한 수사 보고서를 축소 발표하는 등 트럼프의 충신 역할을 담당했다.

2020년 대선비망록에서 대선 직후 백악관의 상황을 소개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4:59:43에 나무위키 윌리엄 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